레디메이드 인생과 현금 300억
레디메이드 인생은 채만식 선생께서 90년 전인 1934년 5월 발표하여 7월까지 연재한 소설의 제목이다. 세계적 대공황으로 인해 전문학교를 졸업하고도 실업자 신세를 면치 못하는 수많은 청년을 채만식 선생은 팔리기를 기다리는 기성품 인생으로 그려낸 것이다. 물론 독후감도 아닌데 잡생각에서 소설 내용을 분석하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다.
작중에 이런 장면이 나온다.
P는 포켓 속에 손을 넣고 잔돈과 지폐를 섞어 삼 원 남은 돈을 만지작거렸다. 그러면서 왼편 손으로는 손가락을 꼽아 가며 삼 원을 곱쟁이 쳐보았다.
육 원 십이 원 이십사 원 사십팔 원 구십육 원 백구십이 원 팔 원 모자라는 이백 원…… 사백 원 팔백 원 일천육백 원 삼천이백 원 육천사백 원 일만 이천팔백 원. 팔백 원은 떼어 버리고 이만 사천 원 사만 팔천 원 구만 육천 원 십구만 이천 원 삼십팔만 사천 원 칠십육만 팔천 원 일백오십삼만 육천 원…….
삼 원을 열여덟 번만 곱집으면 일백오십만 원이 된다. 일백오십만 원 그놈이 있으면…… 이렇게 생각하매 어깨가 으쓱해졌다.
삼 원의 열여덟 곱쟁이가 일백오십만 원이니 퍽 쉬운 것이다…… 그놈만 있으면 백만 원을 들여서 오십 전짜리 십육 페이지 신문을 하나 했으면 우선 K사장의 엉엉 우는 꼴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소설과 위 내용을 17년도 여름에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날부로 내 뇌 한 구석에는 이러한 생각이 떠나지를 않았다. 내가 저축해놓은 돈을 한 번 곱하면 얼마가 되고, 그걸 또 곱하면 얼마가 되며.... 열여덟곱쟁이가 아니라 여덟 곱쟁이 정도만 해도 벌써 300억 가까이 된다. 나의 저축은 늘 변하기 마련이고, 얼마간 더 곱해본다고 문제가 되는 것도 아닌데, 어째서인지 나의 암산은 늘 300억 근처에서 끝난다. 마치 내게 필요한 돈은 딱 그 정도라는 듯이.
이 암산은 또 다른 잡생각으로 이어진다. 만약 내게 300억이 주어진다면 나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큰 돈을 마음껏 쓰는 상상은 뒷맛이 씁쓸하지만 그래도 그 동안은 즐겁다. 누군가는 세계여행을 떠날 수도 있고, 누군가는 요트 하나 가득 창녀를 불러 즐길 수도 있을 것이며, 또 다른 누군가는 꿈꿔본 적도 없는 비싼 위스키 한 병을 아무렇지 않게 들이킬 지도 모르겠다.
내 경우에는 300억이 생기면 큰 집을 짓고 싶다. 그리고 그 집 1층에 매일 친구를 불러서 술을 마시고 이야기를 나누고 보드게임을 하면서 살고 싶다. 가끔은 내가 좋아하는 체스나 카드 게임의 대회를 열어보고 싶고, 또 가끔은 훌륭한 재즈 뮤지션을 초빙해 마당에서 친구들과 작은 음악회를 열고 싶기도 하다.
이런 망상을 계속하다보면 문득 깨닫게 되는 것이 있다. 한국 사람들이란 아퍄트야 말로 인생의 궁극적 목표라는 듯 굴고 있지만, 그리고 나도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 존재이지만, 사실 충분한 돈을 쥐여주면 아파트고 나발이고 정말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살지 않을까. 내 경우는 그게 여행도 아니고 사치도 아니고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하는 것이다.
권력을 쥐여주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큰 돈을 쥐여주면 그 사람의 취향을 알 수 있게 되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블로그의 정보
Ayden's journal
Beard Weard Ay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