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o-Kann으로 알아보는 전역 상태 기본 원리
이 포스트의 내용 대부분은 카토 다이시의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역 상태 관리 원리를 더욱 깊게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해당 서적을 여러번 읽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전역 상태란 무엇인가대부분의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전역 상태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Zustand와 Jotai, Redux Toolkit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된다(제발 useContext를 이런 용도로 쓰지 말아주세요). 그런데 이런 라이브러리들은 어떻게 전역 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걸까? 또, 애시당초 전역 상태란 무엇일까?근본적인 의문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리액트에서 '상태(State)'란 무엇일까. 누군가 이에 대해..